안녕하십니까? 철구조물 및 배관 공사 중에 도장용어 및 물량산출에 있어 아래와 같이 문의드립니다.
1. 개요
- 공장도장 : 철구조물 및 배관에 대해 현장용접부에 대해 마스킹(보류_약75mm) 후 하도도장 후 현장으로 반입
- 현장도장 : 하도도장 된 철구조물 및 배관에 대해 용접작업 후 중도, 상도 후 제작품 완성
2. 문의사항: Touch - up에 해석 및 이견(EX: 하도도장 단가:1원 VS TOUCH-UP 단가: 3.8원)
- 갑 론: 상기의 철구조물 및 배관의 현장용접작업부(도장보류구간)에 대한 도장물량은 공장에서 미시공한 바탕처리 및 하도도장의 현장작업의 연속으로 봐야하며, 현장용접부 전체를 Touch-up 물량으로 적용하는 것은 맞지 않음
(구조물 전체표면적에 대해 공장하도+현장하도/중도/상도 인정, 상도도장 후 손상부에 대해 일부TOUCH-UP 물량으로 인정 의견)
-을 론: 공장에서 바탕처리, 하도시 마스킹(도장보류)하여 용접부에 하도도장이 시공 되지는 않았으나, 구조물 및 배관의 현장용접부에 대해서는 TOUCH-UP 물량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
(구조물 전체표면적에 대해 하도/중도/상도 인정받고, 현장용접부(도장보류구간)에 대해 TOUCH-UP으로 추가 물량반영 의견)